1. 개요 Tesla stock 2025
2025년 7월 현재, 테슬라(TSLA) 주가는 약 332 USD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, 52주 고점(≈488 USD) 대비 약 32% 하락한 상태입니다. 이번 달 들어 주가는 안정화 시그널을 보이며 횡보 중입니다.
- 52주 고가: 488.54 USD
- 52주 저가: 182 USD
- 주가 변동성 (Beta): 약 2.4
2. 2025년 2분기 실적 요약 TSLA Q2 earnings
2.1 핵심 수치
항목 | 2025년 2분기 수치 | 전년 대비 |
---|---|---|
매출 | 224.96억 USD | –12% |
조정 EPS | 0.40 USD | –23% |
순이익 (GAAP) | 12억 USD | — |
기업 순이익 감소 | — | –16% |
현금성 자산 | 약 368억 USD | –2억 USD 감소 |
2.2 차량 인도 및 생산 동향
2025년 2분기 테슬라는 총 384,122대를 인도했으며, 전년 동기 대비 –14% 감소했습니다. 생산량은 410,244대로, 재고가 누적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
유럽 시장에서는 –27.9%의 인도량 감소가 나타났습니다.
3. 주가 반응 vs 분석가 의견
3.1 시장 반응
실적 발표 직후 테슬라 주가는 –5%가량 하락했으며, 이후 단기 반등세를 보였습니다. 옵션 시장에서는 ±5% 수준의 변동성이 내재되어 있었습니다.
3.2 분석가 전망
- UBS: “과도 고평가”, 목표가 215 USD (매도)
- JPMorgan: “하방 압력 지속”, 목표가 115 USD
- Wedbush: “매수 유지”, 목표가 500 USD
분석가들의 평균 목표가는 약 300 USD로, 의견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는 상황입니다.
4. 주요 리스크 요인
4.1 정치 및 브랜드 이미지
CEO 엘론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로 인해 ‘Tesla Takedown’ 운동이 확산되고 있으며, 이는 브랜드 이미지와 소비자 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
4.2 중국 및 유럽 경쟁
중국의 BYD는 BEV 시장에서 60만 대 이상을 판매하며 테슬라를 앞질렀습니다. 가격 경쟁 심화와 보조금 변화로 인해 시장 점유율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.
4.3 원자재 및 수익성
중국 흑연에 대한 미국의 고관세(+160%) 부과로 배터리 비용이 증가하고 있으며, 차량 1대당 약 200달러의 비용 부담이 생겼습니다.
5. 성장 모멘텀: AI·로봇·로보택시
5.1 로보택시 서비스
2025년 6월, 미국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. Grok AI가 탑재된 차량 10~20대가 시범 운행 중이며, 연내 12개 도시로 확장 예정입니다. “Tesla robotaxi Austin”
5.2 옵티머스 및 차세대 플랫폼
테슬라는 올해 하반기부터 Model 2 또는 Cybercab으로 불리는 저가형 플랫폼 차량의 양산을 시작합니다. 또한 인간형 로봇 옵티머스를 통해 AI 기반 스마트 팩토리 모델을 구축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습니다. “Tesla next-gen platform”
6. 종합 평가 및 향후 전략 제언
6.1 요약
2025년 현재 테슬라는 실적 부진, 브랜드 이미지 하락, 경쟁 심화 등 여러 리스크에 직면해 있지만, 로보택시·AI·차세대 모델 등의 장기적 기회도 공존하는 상태입니다.
6.2 투자 전략
- 단기적으로 관망 또는 소규모 분할 진입
- 로보택시 확장 속도, 중국 회복, 차세대 모델 발표 등 주요 이벤트 관찰
- 중장기 포지션은 평균 목표가인 300 USD 부근에서 조정 고려
- 정치/정책 리스크에 대한 뉴스 및 규제 변동 사항 상시 확인
7. 결론
2025년 7월 기준 테슬라(TSLA)는 단기 리스크와 장기 기회가 공존하는 변곡점에 위치해 있습니다. 투자자 입장에서는 향후 분기 실적과 AI/로보택시 관련 모멘텀을 면밀히 확인한 뒤 분할 접근 전략을 통해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.